본문 바로가기

JIPYONG 법무법인[유] 지평

법률정보|정책동향
[노동] 2024. 1. – 2024. 3. 산업재해현황[재해조사대상 사망사고 기준(잠정)]
2024.05.29
고용노동부는 2024. 1.부터 2024. 3.사이에 산업재해의 발생 사건 수와 산업재해로 인하여 사망한 자의 수를 각 업종별, 산업별, 규모별, 재해유형별, 기인물별, 성별・연령별, 직종별, 발생시기별로 나누어 산업재해현황 부가통계 결과를 게시하였습니다. 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.

업종별
 

- 발생건수는 건설업(47.1%), 제조업(22.8%), 기타의사업(18.4%) 순으로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건설업(46.4%), 제조업(22.5%), 기타의사업(18.8%) 순으로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 


산업별
 

- 발생건수는 건설업(47.1%), 제조업(22.8%), 운수 및 창고업(5.1%) 순으로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건설업(46.4%), 제조업(22.5%), 운수 및 창고업(5.8%) 순으로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


규모별
 

1. 건설업

- 발생건수는 5~49인(43.8%), 5인 미만(20.3%), 50~99인(14.1%), 100~299인(9.4%), 300~999 (6.3%), 1,000인 이상(6.3%) 순으로 5~49인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5~49인(43.8%), 5인 미만(20.3%), 50~99인(14.1%), 100~299인(9.4%), 300~999 (6.3%), 1,000인 이상(6.3%) 순으로 5~49인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
- 발생건수는 1~5억(17.2%), 1억 미만(17.2%), 800억 이상(17.2%), 120~800억(14.1%), 20~50억(14.1%), 50~120억(7.8%) 순으로 발생
- 사망자는 1~5억(17.2%), 1억 미만(17.2%), 800억 이상(17.2%), 120~800억(14.1%), 20~50억(14.1%), 50~120억(7.8%) 순으로 발생

2. 제조업

- 발생건수는 5~49인(32.3%), 100~299인(22.6%), 1,000인 이상(16.1%), 300~999인(12.9%), 5인 미만(9.7%), 50~99인(6.5%) 순으로 5~49인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5~49인(32.3%), 100~299인(22.6%), 1,000인 이상(16.1%), 300~999인(12.9%), 5인 미만(9.7%), 50~99인(6.5%) 순으로 5~49인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

3. 기타 업종

- 발생건수는 5~49인(36.6%), 5인 미만(22.0%), 300~999인(17.1%), 1,000인 이상(12.2%), 100~299인(9.8%), 50~99인(2.4%) 순으로 5~49인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5~49인(39.5%), 5인 미만(20.9%), 300~999인(16.3%), 1,000인 이상(11.6%), 100~299인(9.3%), 50~99인(2.3%) 순으로 5~49인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


재해유형별
 

- 발생건수는 떨어짐(46.3%), 물체에 맞음(15.4%), 끼임(13.2%), 깔림・뒤집힘(7.4%), 부딪힘(6.6%) 순으로 떨어짐에서 가장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떨어짐(45.7%), 물체에 맞음(15.2%), 끼임(13.0%), 깔림・뒤집힘(7.2%), 부딪힘(7.2%) 순으로 떨어짐에서 가장 많이 발생생

기인물별
 
- 발생건수는 건축물・구조물 및 표면(47.1%), 운반 및 인양 설비・기계(19.1%), 부품, 부속물 및 재료(8.8%), 제조 및 가공 설비・기계(8.1%) 순으로 건축물・구조물 및 표면에서 가장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건축물・구조물 및 표면(46.4%), 운반 및 인양 설비・기계(20.3%), 부품, 부속물 및 재료(8.7%), 제조 및 가공 설비・기계(8.0%) 순으로 건축물・구조물 및 표면에서 가장 많이 발생

성별, 연령별
 
- 사망자는 남자는 133명(96.4%), 여자는 5명(3.6%)으로 대부분 남자가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60세 이상(42.8%), 55~59세(18.1%), 50~54세(11.6%), 40~44세(7.2%), 35~39세(6.5%), 45~49세(5.8%), 30~34세(3.6%), 25~29세(2.2%), 18~24세(2.2%) 순으로 고령자에서 많이 발생

직종별
 
- 사망자는 단순노무 종사자(49.3%),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(34.8%), 장치,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(5.8%),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(3.6%) 순으로 많이 발생

발생시기별
 
- 발생건수는 3월(39.0%), 1월(36.8%), 2월(24.3%) 순으로 많이 발생
- 발생건수는 월(19.1%), 목(16.9%), 금(16.9%), 화(16.2%), 수(16.2%), 토(11.0%), 일(3.7%) 순으로 월요일에 가장 많이 발생
- 발생건수는 8~10시 전(27.2%), 14~16시 전(22.8%), 10~12시 전(19.9%), 12~14시 전(11.8%), 16~18시 전(9.6%) 순으로 8~10시 전에 가장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3월(39.9%), 1월(36.2%), 2월(23.9%) 순으로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월(18.8%), 목(16.7%), 금(16.7%), 화(15.9%), 수(15.9%), 토(11.6%), 일(4.3%) 순으로 월요일에 가장 많이 발생
- 사망자는 8~10시 전(26.8%), 14~16시 전(22.5%), 10~12시 전(20.3%), 12~14시 전(11.6%), 16~18시 전(9.4%) 순으로 8~10시 전에 가장 많이 발생


참고자료 2024년 3월말 사업재해현황(고용노동부, 2024. 5. 29.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