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획재정부는 2025. 3. 19. 상속세 과세방식을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상속세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습니다. 개정 법률안은 40일간(2025. 3. 19. ~ 4. 28.)의 입법예고를 거쳐 5월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며, 2028. 1. 1.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개정 법률안의 주요 내용을 소개해 드립니다.
1. |
과세방식 전환 : 유산세 → 유산취득세 [PDF] |
2. |
과세대상 기준 변경 : 피상속인, 상속인 중 하나라도 거주자인 경우 국내외 모든 상속취득재산이 과세대상 [PDF] |
3. |
납세의무 조정 : 연대납세의무 → 제한적 연대납세의무 [PDF] |
4. |
사전증여재산 과세범위 합리화 : 각 상속인이 받은 사전증여재산만 해당 상속인의 상속세 과세표준에 합산, 제3자 증여재산 합산 배제 [PDF] |
5. |
인적공제 제도 개편 : 직계존비속인 상속인의 경우 1인당 5억 원, 배우자인 상속인의 경우 30억 원 공제 한도이나, 최소공제액(5억 원) 폐지 [PDF] |
|
지평 조세 뉴스레터
지평은 정기적으로 조세 법률 정보와 소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구독을 원하시는 분은 구독 신청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|
|